분류 전체보기(188)
-
경기도 여주의 명소, 세종대왕릉(영릉, 英陵)과 효종대왕릉(영릉, 寧陵) 관광 후기
가까이 있지만 거의 1년 동안 안 가본 세종대왕릉과 효종대왕릉에 다녀왔다. 세종대왕릉도 영릉, 효종대왕릉도 영릉이라고 한다. 한자는 다르지만 한글로 쓰면 똑같다. 오랜만에 영릉을 다녀온 느낀 점을 짧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관광 및 산책 코스로 정말 좋은 곳이다. 세종대왕릉과 효종대왕릉 모습도 매우 웅장하고 멋있을 뿐만 아니라 주변에 조성된 소나무 숲도 정말 보기 좋다. " 이번 후기는 영릉의 관람에 관하여만 썼다. 영릉의 역사적 지식이 궁금한 사람은 아래의 링크에 걸린 세종대왕유적관리소 홈페이지를 참고하는 게 좋겠다. 세종대왕유적관리소 홈페이지 : http://sejong.cha.go.kr/ 세종대왕유적관리소 sejong.cha.go.kr 1. 관람 시간 및 관람 요금 관람시간이 달마다 바뀐다. 아..
2022.09.03 -
말년병장의 양구군 군인 할인 총정리
양구군에서 군생활하면서 도움이 되었던 군인 할인을 정리해보았다. 그리고 해당 시설에 대한 느낀 점도 같이 정리해보았다. 1. 군장병 우대업소 양구에서 군 장병 우대업소로 지정된 음식점이나 숙박업소를 이용하고 나라사랑카드로 결제하면 결제한 금액의 30% 정도를 양구사랑상품권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외출이나 외박 나가서 밥 먹을 때 상당히 큰 도움이 되는 혜택이다. 군장병 우대업소는 보통 입구에 군장병 우대업소 스티커를 붙이고 있으니 잘 알아보고 이용하길 바란다. 나는 아직 써본 적 없지만, 아래와 같이 나라사랑페이로도 하는 것 같다. 나라사랑카드로 이미 혜택을 보고 있었기 때문에, 나라사랑페이를 써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2. '한반도 스카이' 양구 수상레저 시설 할인 (2022년 10월 11일 수..
2022.08.30 -
양구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 및 요금표 (2022년 8월 기준)
2022년 8월에 찍은 양구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와 요금표 사진입니다. 양구시외버스터미널 개요 양구와 서울, 춘천 등의 도시를 잇는 유일한 통로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인근 군부대에서 휴가나온 장병들이 동서울터미널을 가기 위해서 많이 이용합니다. 그래서 동서울 가는 버스 중에서 휴가 출발시간에 가까운 오전 8시 버스나 오전 8시 40분 버스는 군인이 꽤 많습니다. 양구군민들도 다른 도시 갈 때 많이 이용합니다. 터미널은 양구읍내에 붙어있습니다. 터미널 주변에는 양구군청, 춘천세무서 양구민원실, 춘천지방법원 양구군법원, 강원양구경찰서 등과 같은 관공서뿐만 아니라, 군장점과 여러 식당, 카페 등의 편의시설이 많이 있습니다. 양구에 있는 유일한 영화관인 양구정중앙시네마도 이 터미널과 가까이 있습니다. 걸어서 8..
2022.08.30 -
양구군 농어촌 버스 운행시간표 (2022년 8월 기준)
2022년 8월에 찍은 양구군 농어촌 버스 운행시간표 사진입니다.
2022.08.30 -
로카인양구가 알려주는 사단(師團)과 여단(旅團)의 어원
1. 사단(師團)? 스승의 단체?, 여단(旅團)? 나그네의 단체? 군대에 갔다 왔다면 사단(師團)과 여단(旅團)이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었을 것이다. 그런데 사단과 여단의 한자를 본 적 있는가? 사단은 '스승 사'에 '단체 단', 여단은 '나그네 려(여)'에 '단체 단'이다. 한자만 보고 해석하면 사단은 스승의 단체, 여단은 나그네의 단체라는 뜻이 된다. 이런 단어가 왜 군대 편제가 되었는가? 2. '사(師)'와 '여(旅)'의 원래 뜻 중국 고대 주나라 때, '사(師)'와 '여(旅)'는 군대를 의미하는 말이었다. 주례(周礼)에 따르면, 5명은 '오(伍)', 5오는 '량(両)', 4량은 '졸(卒)', 5졸은 '여(旅)', 5여는 '사(師)', 5사가 '군(軍)'이었다. 1사(師)는 대략 2500명 정도의 ..
2022.08.29 -
많이 노력한 말년병장의 군대 자기개발 및 자기계발 조언
1. 이등병 때, 군대 자기개발 계획을 짜서 실천해라 이등병 때는 주특기 학습에 집중하라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군대에서 자기개발을 하려 한다면 반드시 이등병 때 자기개발 계획을 짜서 실천해라. '일병 달고 하지'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일병이 되면 '상병 달면 하지'라고 한다. 그리고 전역 때까지 책 한 권도 안 보고 전역한다. 예외도 있겠지만 내가 군대에서 본 많은 사람이 그랬다. 그리고 군대는 시간이 흐를수록 정신적으로 힘든 곳이다. 갇혀진 공간, 각종 근무와 작업, 인간관계 등으로 받는 스트레스는 계속 쌓인다. 시간이 지날수록 자기개발을 시작할 정신적 여유가 없어진다. 그러니 이병 때, 자기개발을 시작하여야 한다. 2. '장병 자기개발비용 지원'제도를 반드시 활용해라. 군대에서 연간 12만원을 지원해..
2022.08.27